전공소개
환경보건전공은 환경역학, 환경보건, 건강위해성평가 등 교육을 통해 산업화, 도시화, 기후변화로 인해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오염문제를 이해하고 인과관계를 규명하며 환경성질환을 예방·관리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. 나아가 환경보건 정책 마련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한다.
교육대상
지역 보건환경분야 실무인력, 지방의회 환경위원회 의원, 환경분야 시민 활동가, 직업환경분야 병원 종사자, 의과대학 동창회 등
교과과정
전공 | 종별 | 교과목명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환경보건 | 전공필수 | 보건학개론 | 공통과목 |
전공필수 | 보건의료 세미나 | 공통과목 | |
전공필수 | 보건학 연구방법론 | 공통과목 | |
전공선택 | 환경역학 | ||
전공선택 | 환경보건학 | ||
전공선택 |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| ||
전공선택 | 환경독성학 | ||
전공선택 | 환경 측정 및 분석 | ||
전공선택 | 건강위해성평가 | ||
전공선택 | 화학물질위해관리 | ||
전공선택 | 환경보건정책 | ||
전공선택 | 환경보건논문 | ||
전공필수 | 연구 1,2 |
- 보건학개론(Introductory theory of health science)
건강 및 질병의 결정요인들을 이해하여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대책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. - 보건의료 세미나
- 보건학 연구방법론(Health Research Methods)
보건의료분야 지식의 구축과 활용을 위한 기본 연구방법론을 주제로 한다. 구체적 학습 내용은 보건학 분야의 연구 설계, 문헌의 고찰, 자료 수집 방법 및 통계분석을 포함하며, 학습자가 예비연구를 시행하고 적용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. - 환경역학
- 환경보건학(Environmental Health)
환경보건의 정의와 범위, 환경매체별 오염원 및 관리방안, 환경유해인자의 특성과 건강영향, 환경보건학의 연구 방법, 환경보건 정책 및 관련법을 학습한다. - 환경성질환 예방관리
- 환경독성학
- 환경 측정 및 분석
- 건강위해성평가
- 화학물질위해관리
- 환경보건정책
- 환경보건논문
- 연구 1,2
연구 1,2 교과목은 논문 및 연구보고서 제출을 위해 필히 지도를 받는 과목으로, 반드시 신청 후 (논문 및 연구보고서)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야 성적 이수가 가능하다. 또한 강의시간표에 수요일로 개설되어 있지만, 수업이 아닌 논문 및 연구보고서 지도로 (논문 및 연구보고서)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시간 및 요일은 조절 가능하다.